문재인 정부, LTVㆍDTI 강화 움직임…실수요자에게는 오히려 得이다?

2017. 06. 08   15:17 조회수 3,640

그 동안, 부동산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했던 대통령 탄핵정국과 조기대선이 마무리되면서 부동산경기도 빠르게 회복세를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그 동안 잠잠하던 전국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됐으며 일부 주요지역에서는 투자수요가 대거 몰리면서 부동산시장이 과열조짐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대선후보의 정책과 시장 분위기를 살피던 예비수요자들이 다시 부동산시장에 발을 내딛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또, 분양시기를 놓고 저울질 하던 건설사들도 대선이 끝난 이후 대거 분양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입니다.


 

이처럼, 부동산시장에 다시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있지만 불안요인도 함께 커져가고 있는데요. 대선 이후, 일부 주요 지역의 분양시장이 청약과열현상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주택가격 오름폭도 커지면서 정부가 규제의 칼날을 꺼내 들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1360조원에 달하는 사상최대의 가계부채 문제도 규제 강화 움직임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정부, LTVㆍDTI 유예기간 종료 거의 확실…DSR 조기 시행가능성도 점쳐져]
문재인 정부는 오는 8월까지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마련하라고 각 부처에 지시해둔 상태입니다.
먼저, 정부는 LTV(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과 DTI(총부채상환비율) 카드를 내밀 가능성이 큽니다. LTV(주택담보인정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 등 대출 규제 완화 조치의 유예기간이 오는 7월말 종료되기 때문인데요. LTV와 DTI 규제가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점쳐지는 만큼 정부가 더 이상 완화유예기간을 늘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조기에 도입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DSR을 실행하겠다고 공약했었는데요. 금융위원회는 당초 2019년에 DSR을 전면 도입키로 했지만 2018년으로 앞당기는 계획도 내놓았습니다.

 

[실수요자들, 내 집 마련 기회 확대 전망…안정적인 부동산시장 형성]

LTV와 DTI, DSR 등 대출규제가 항상 부동산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대출이 상대적으로 힘들어지면 투자수요는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실수요자들에게는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주요지역의 아파트들이 로또 같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면서 사실상 내 집마련의 꿈을 접어야 했던 예비청약자(실수요자)들에게도 더욱 많은 기회가 돌아갈 전망입니다. 

실수요자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므로 부동산시장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대부분의 주택수요자들이 실거주를 목적으로 하므로 거래가 꾸준히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 서브프라임사태 당시 국내 부동산시장과 금융시장입니다.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로 미국의 부동산과 금융시장이 붕괴됐지만 국내 부동산ㆍ금융시장은 안정적이었습니다. 당시 미국 LTV가 100~105% 정도였던 반면 국내 적용기준은 50% 미만이었습니다.



[LTV와 DTI 완화 유예기간 내에 새 집 장만해 볼까?]


대출을 통해 내 집 장만을 앞두고 있는 예비청약자라면 올해 6~7월 분양물량을 노려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건설사들이 대선이 끝난 이후 분양물량을 다량으로 쏟아내므로 선택의 폭이 더욱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LTV DTI 규제에 대한 부담도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올해 6월은 전국적으로 주요 분양물량이 속속 등장하므로 내  집 마련을 꿈꾸시는 분들은 꼭 청약해보시길 바랍니다.


 

<저작권자 © 리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그 동안, 부동산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했던 대통령 탄핵정국과 조기대선이 마무리되면서 부동산경기도 빠르게 회복세를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그 동안 잠잠하던 전국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됐으며 일부 주요지역에서는 투자수요가 대거 몰리면서 부동산시장이 과열조짐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대선후보의 정책과 시장 분위기를 살피던 예비수요자들이 다시 부동산시장에 발을 내딛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또, 분양시기를 놓고 저울질 하던 건설사들도 대선이 끝난 이후 대거 분양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입니다.
 이처럼, 부동산시장에 다시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있지만 불안요인도 함께 커져가고 있는데요. 대선 이후, 일부 주요 지역의 분양시장이 청약과열현상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주택가격 오름폭도 커지면서 정부가 규제의 칼날을 꺼내 들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1360조원에 달하는 사상최대의 가계부채 문제도 규제 강화 움직임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정부, LTVㆍDTI 유예기간 종료 거의 확실…DSR 조기 시행가능성도 점쳐져]
문재인 정부는 오는 8월까지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마련하라고 각 부처에 지시해둔 상태입니다.
먼저, 정부는 LTV(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과 DTI(총부채상환비율) 카드를 내밀 가능성이 큽니다. LTV(주택담보인정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 등 대출 규제 완화 조치의 유예기간이 오는 7월말 종료되기 때문인데요. LTV와 DTI 규제가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점쳐지는 만큼 정부가 더 이상 완화유예기간을 늘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조기에 도입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DSR을 실행하겠다고 공약했었는데요. 금융위원회는 당초 2019년에 DSR을 전면 도입키로 했지만 2018년으로 앞당기는 계획도 내놓았습니다. ​ [실수요자들, 내 집 마련 기회 확대 전망…안정적인 부동산시장 형성]

LTV와 DTI, DSR 등 대출규제가 항상 부동산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대출이 상대적으로 힘들어지면 투자수요는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실수요자들에게는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주요지역의 아파트들이 로또 같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면서 사실상 내 집마련의 꿈을 접어야 했던 예비청약자(실수요자)들에게도 더욱 많은 기회가 돌아갈 전망입니다. 

실수요자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므로 부동산시장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대부분의 주택수요자들이 실거주를 목적으로 하므로 거래가 꾸준히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 서브프라임사태 당시 국내 부동산시장과 금융시장입니다.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로 미국의 부동산과 금융시장이 붕괴됐지만 국내 부동산ㆍ금융시장은 안정적이었습니다. 당시 미국 LTV가 100~105% 정도였던 반면 국내 적용기준은 50% 미만이었습니다.

[LTV와 DTI 완화 유예기간 내에 새 집 장만해 볼까?]
대출을 통해 내 집 장만을 앞두고 있는 예비청약자라면 올해 6~7월 분양물량을 노려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건설사들이 대선이 끝난 이후 분양물량을 다량으로 쏟아내므로 선택의 폭이 더욱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LTV와 DTI 규제에 대한 부담도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올해 6월은 전국적으로 주요 분양물량이 속속 등장하므로 내  집 마련을 꿈꾸시는 분들은 꼭 청약해보시길 바랍니다.

 
그 동안, 부동산시장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했던 대통령 탄핵정국과 조기대선이 마무리되면서 부동산경기도 빠르게 회복세를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그 동안 잠잠하던 전국아파트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됐으며 일부 주요지역에서는 투자수요가 대거 몰리면서 부동산시장이 과열조짐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는, 대선후보의 정책과 시장 분위기를 살피던 예비수요자들이 다시 부동산시장에 발을 내딛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또, 분양시기를 놓고 저울질 하던 건설사들도 대선이 끝난 이후 대거 분양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입니다.이처럼, 부동산시장에 다시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있지만 불안요인도 함께 커져가고 있는데요. 대선 이후, 일부 주요 지역의 분양시장이 청약과열현상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주택가격 오름폭도 커지면서 정부가 규제의 칼날을 꺼내 들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1360조원에 달하는 사상최대의 가계부채 문제도 규제 강화 움직임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정부, LTVㆍDTI 유예기간 종료 거의 확실…DSR 조기 시행가능성도 점쳐져]문재인 정부는 오는 8월까지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마련하라고 각 부처에 지시해둔 상태입니다. 먼저, 정부는 LTV(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과 DTI(총부채상환비율) 카드를 내밀 가능성이 큽니다. LTV(주택담보인정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 등 대출 규제 완화 조치의 유예기간이 오는 7월말 종료되기 때문인데요. LTV와 DTI 규제가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해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점쳐지는 만큼 정부가 더 이상 완화유예기간을 늘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조기에 도입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자 시절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DSR을 실행하겠다고 공약했었는데요. 금융위원회는 당초 2019년에 DSR을 전면 도입키로 했지만 2018년으로 앞당기는 계획도 내놓았습니다. ​[실수요자들, 내 집 마련 기회 확대 전망…안정적인 부동산시장 형성]LTV와 DTI, DSR 등 대출규제가 항상 부동산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대출이 상대적으로 힘들어지면 투자수요는 다소 위축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실수요자들에게는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주요지역의 아파트들이 로또 같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면서 사실상 내 집마련의 꿈을 접어야 했던 예비청약자(실수요자)들에게도 더욱 많은 기회가 돌아갈 전망입니다. 실수요자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므로 부동산시장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대부분의 주택수요자들이 실거주를 목적으로 하므로 거래가 꾸준히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국 서브프라임사태 당시 국내 부동산시장과 금융시장입니다.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로 미국의 부동산과 금융시장이 붕괴됐지만 국내 부동산ㆍ금융시장은 안정적이었습니다. 당시 미국 LTV가 100~105% 정도였던 반면 국내 적용기준은 50% 미만이었습니다.​[LTV와 DTI 완화 유예기간 내에 새 집 장만해 볼까?]대출을 통해 내 집 장만을 앞두고 있는 예비청약자라면 올해 6~7월 분양물량을 노려보는 것이 유리합니다. 건설사들이 대선이 끝난 이후 분양물량을 다량으로 쏟아내므로 선택의 폭이 더욱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LTV와 DTI 규제에 대한 부담도 줄일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올해 6월은 전국적으로 주요 분양물량이 속속 등장하므로 내 집 마련을 꿈꾸시는 분들은 꼭 청약해보시길 바랍니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