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평균 아파트 값이 인천을 넘어서면서 서울·경기에 이어 전국 3위로 올라섰다.
3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구 지역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2억4,463만원으로 서울(5억3,086만원), 경기도(2억9,230만원)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 아파트 가격 역시 2억4,411만원으로 인천(2억3,707만원)과 세종시(2억3,784만원)를 밀어내고 4위를 기록했다.
대구와 부산의 아파트 값 상승은 외부 투자수요가 집중된 탓도 있지만 학군이 우수한 지역의 가격이 최근 큰 폭으로 오르면서 집값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경신고·대륜고 등 명문 고등학교가 있는 대구 수성구는 평균 아파트 가격이 3억3,679만원으로 1억~2억원대인 다른 지역구보다 많게는 1억5,000만원가량 높았다. 부산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특성화 학원과 특목고가 몰려 있는 해운대구의 아파트 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인천은 경제자유구역 개발과 함께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지만 금융위기 후 개발이 지연되고 미분양이 발생하면서 시장이 침체된 것으로 조사됐다. 송도국제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상대적으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 광역시 48개 자치구 중 아파트 가격 상위 10위에는 부산이 7개로 가장 많았고 인천·대구·대전이 각각 1곳씩을 기록했다. 인천은 송도신도시가 위치한 연수구가 유일하며 청라국제도시가 있는 서구는 14위, 영종하늘도시가 있는 중구는 20위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