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근로자 가구 평균 소득 기준으로 6년을 모아야 서울 시내 아파트 평균 전셋값을 마련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부동산114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 시세와 통계청 지난해 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소득을 비교한 결과 서울 전셋값이 도시근로자가구 연간 소득의 5.96배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부동산114 자료를 보면 서울 지난해 말 기준 평균 전셋값은 3억3849만원이다. 통계청의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당 연간 소득은 2인 기준 5682만원이다.
도시근로자 소득 대비 서울 시내 아파트 전세가 배율(PIR)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4.12배였다. 2011년 5.28배까지 상승하고 나서 2012년 5.15배로 안정되고 나서 2013년부터 5.66배로 급등했다. 지난해 5.96배는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뿐만 아니라 수도권 아파트 평균 전세금도 4.3배에 이르며 전국 기준으로는 3.4배에 이른다.
소득 대비 전셋값 배율이 높아진 이유는 전세금 상승폭이 소득 증가세보다 컸기 때문이다. 부동산114 시세 기준으로 서울시내 아파트 평균 전세가는 1년 전(3억1265만원)보다 8.3%(2584만원), 2년 전(2억7767만원)에 비해서는 21.9%(6082만원) 상승했다.
2년 만에 서울 전셋값이 6000만원 넘게 올랐다.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지 않은 세입자는 6000만원의 자금이 필요해진 셈이다. 또한 금리가 낮아지면서 집주인이 월세 전환을 선호해 전세 공급이 줄어 가격이 높아진 탓도 있다.